
한국사회의 사생활 침해 수준과 본인에게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국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Awareness about Degree of Privacy Invasion and Possibility of Occur to Oneself in Korean Society
- 김영기(Young-ki Kim)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10호
- 2018.10
- 591 - 600 (10 pages)
본 연구는 연령이 한국사회가 사생할 침해에 노출되어 있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그 다음이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연령이 본인에게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가장 큰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그 다음이 최종학력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생활 침해에 다소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본인에게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국민들이 사생활 침해를 자신과는 무관한 사회적 현상으로만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보안교육에서는 개인에게 발생했던 사생활 침해의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편성하고 본인이 직접 참여하는 역할극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사생활 침해 상황을 체험하는 교육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연령대가 높은 국민, 학력이 낮은 국민,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사생활 침해 예방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how that age have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awareness about risk of privacy invasion of Korean society, and that subsequent influence factor is trust level towards the Korean society. Also, this study show that age have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awareness about possibility of occur privacy invasion to oneself, and that subsequent influence factor is educational level. But most of these people think that Korean society, to some degree, run a risk of privacy invasion, regards that a lower possibility of occur privacy invasion to oneself. To understand this result, it is useful to think of peoples take an objective view of risk of privacy invasion as social issue. Theorfore, contents of preventive education for peoples must include that illustrate each case of privacy invasion in detail, and activity experienced privacy invasion in the role play and computer simulation. And must require preventive education for peoples in the older age group and in lower educational level, peoples with higher trust towards the Korean societ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대상 및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