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85.jpg
학술저널

직무특성이 작업자의 내재적 동기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 346

그동안 직무설계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들에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통찰들이 제시되었다.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모형은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모형을 기반으로 핵심직무특성의 차원들이 작업자의 내재적 직무동기 및 전반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표본은 제조기업 근로자 392명이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근로자의 내재적 직무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직무특성은 피드백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과업중요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자의 전반적 직무만족에도 피드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과업중요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근로자의 내재적 직무동기 및 전반적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의 수행과정 및 결과에 대해서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직무의 피드백 수준을 높여야 한다. 작업자가 자신의 직무수행 과정과 결과를 스스로 인식하고 통제할 수 있을 때 작업자의 직무 완성도는 높아진다. 또한 과업중요성 수준을 높여 근로자가 자신의 직무를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긍심과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과업이 조직과 조직구성원들의 목표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각할수록 근로자는 더욱 자신의 과업에 몰입하게 될 것이다

Job design research has generated many insights unt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Hackman and Oldham’s job characteristics model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core job characteristics dimensions on worker s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based on job characteristics model.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2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re job haracteristic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ere found to be the feedback, and the importance of the task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nex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feedback level of the job so that workers can fully understa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ir work. When a worker is able to recognize and control his or her job performance process and result, the worker s job completeness increases.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level of importance of work, workers should be aware of their job as an important task so that they have pride and responsibility for their job. The workers perceive that their work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he worker will become more involved in his or her tasks.

1. 서론

2. 연구방법

3. 실증분석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