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85.jpg
학술저널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0-2017

  • 45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에서 게재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2010년 이후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분석하였으며, KoreaMed,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을 통해서 검색하였고, 최종 25편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25편의 논문 중 2014-2015년에 게재된 논문이 12편(48.0%)으로 가장 많았으며, 삶의 질 측정 도구는 SF-36을 이용한 도구가 8편(32.0%)이었다. 만성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 관련 요인으로는 임상적 요인에서 사구체 여과율, 요독증 등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항목들을 나타냈고, 심리적 요인에서는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등이 분석되었다. 결론: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장기간의 전향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혈액투석관련 분야의 의료진의 경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삶의 질 수준이 변화되는 시점을 사정함으로써 환자중심의 맞춤형 중재가 제공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domestic papers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Methods: The papers was analyzed in a paper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from 2010 to December 2017. The analysis paper was searched through KoreaMed,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mation Service(KERIS), and the final 25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5 papers, 12 papers (48.0%) were published in 2014-2015, the tool measuring quality life was 8(32.%) using SF-36. The most common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were clinical factors, including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uremic symptoms,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analyzed.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prospective studies should be attempted in various aspects. In the case of medical staff in the field of hemodialysi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및 결론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