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510.jpg
학술저널

아동기 행동억제와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Behavioral Inhibition, Interpersonal Self-Efficacy and Mother s Facilitative Communication

  • 278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행동억제와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 충청지역의 초등학교 학생 총 39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회고적 자기보고식 행동억제 질문지와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척도,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억제와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행동억제가 높은 아동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자신이 잘 할 수 있다는 신념이 낮음을 의미한다. 특히 행동억제의 하위요인인 수줍음이 대인관계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여 수줍음을 많이 타는 아동이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촉진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여, 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이 높은 아동은 자신의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을 높다고 지각하였다. 셋째, 행동억제의 하위요인인 단순공포와 사회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수용성의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단순공포 수준이 낮고 모와 높은 수준의 수용적 의사소통을 하는 아동은, 단순공포 수준이 높고 모와 낮은 수준의 수용적 의사소통을 하는 아동에 비해 사회적 상황에서 대인관계 상황을 잘 숙달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질적 취약성으로 알려진 아동의 행동억제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이들의 관계를 중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relation among behavioral inhibition, interpersonal self-efficacy and mother s facilitative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3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Inch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were asked to complete Retrospective Self-Report Inhibition, Interpersonal self-efficacy scale and Facilitative Communication scale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interpersonal self-efficacy. This means children with high behavioral inhibition were low in self confidence in a social situation. Especially, shyness, which is a sub-factor of behavioral inhibi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elf-efficacy. Shy children s interpersonal self-efficacy is lower than less shy children s. Second,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children who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lso perceive their interpersonal self-efficacy to be high. Third, accepting, sub-factor of facilitative communication, showed a moderation effect between simple fear, which is a sub-factor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lation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interpersonal self-efficacy, and mother s facilitative communication in children who are perceived to have temperamental difficulties were examined.

방법

결과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