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발달장애 청소년 자기옹호 관련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Self-Advocac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283

이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 경험을 알아보고, 연구를 통해 자기옹호 경험이 어떠하며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 9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개별적 자료를 조합해 나가며 전체상으로 구조화해 원인을 밝혀나가는 KJ법(친화도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연구참여자들이 자기옹호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옹호의 관련 요인으로는 자기옹호의 장인 가정이나 학교에서 장애라는 것 자체가 자기옹호의 경험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고집은 자기옹호의 중요한 수단으로 발현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 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elf-advocacy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igure out their self-advocacy experi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nin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methodology, the KJ method(affinity diagram) was used which involved collecting various data, putting together individual data, and identifying causes through their structurization into a big picture. The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nts had a variety of experiences related to self-advocacy. As for factors related to self-advocacy, having a disability itself became a factor to make them hesitate with their self-advocacy experiences at home and school, which are venues of self-advocacy. Persistence was manifested also as an important means of self-advo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a couple of proposal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