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513.jpg
학술저널

해결중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on Improving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 1,365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기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해결중심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S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에 재학 중인 남학생, 여학생을 선정하여 각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치 하여 이 중 실험집단에게만 전연진이 개발한 ‘청소년들에게 닥친 위험한 상황을 기회로 만들어가는 해결중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Wilcoxon’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표본의 수가 적기 때문에 집단 간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최소화 하고자 공분산분석인 ANCOVA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한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변화에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결중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용한 접근 방법이었음을 시사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on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The research question was ‘Is a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early adolescents self-esteem?’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14 students (7 male and female students each)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in Gyeonggi Provinc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8 times for 2 weeks for 70 minutes each tim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lcoxon s Signed-Ranks Test was performed. Due to the few number of sample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added to minimize possib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elf-esteem changes i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at the p<.05 confidence level. Although various typ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currently, such programs overlook the diversity of individual goals of early adolescents. However, this study verifies that solution-focused assumptions that value each individuals’ strengths and resources as they are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early adolesc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