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내적 자원인 자아통제감과 여가유능감, 그리고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인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그리고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요변수들 각각의 수준을 검증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5개의 독립변수와 5개의 통제변수를 모두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F=8.592 p<.001), 종속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을 29.8%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 중에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의 지지(β=.23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통제감과 여가유능감의 β값이 각각 .237과 .179로 역시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용 가능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실제 적용을 위한 사회구성원의 인식 및 행동의 변화, 그리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by analyzing relationships with sense of control, leisure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is composed of supports from family, friend, and significant others. Based on the factors found,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was suggested. To achieve this go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all other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vestig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find factors to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5 independent variables and 5 control variables with an dependent variable were used to d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was turne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F=8.592 p<.001), and explained 29.8%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support from family was the most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β=.238), sense of control was second(β=.237), and leisure efficacy was third one(β=.179).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ever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develop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change of people s thoughts and acts, and necessity of implementing effective system were strongly commented.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