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보훈대상자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국외 주요국가들의 보건의료서비스 동향을 알아본 후 우리나라 보훈대상자들의 보건의료서비스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 보훈대상자가 851,968명으로, 보훈병원과 민간병원의 가장 큰 차이가 진료비 청구이다. 또한, 보훈·의료전달체계는 1, 2, 3차 통합 진료체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보건의료서비스 정보화가 되면서 병원 업무 전산 S/W 개발하여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업무 처리함으로써 인력과 처리시간을 감축하였다. 그리고 보험청구 시스템 개발하여 사용하면서 청구 미수금 회수 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보았으며, 병원정보시스템이 표준화가 되면서, 5개 병원 경영정보 및 각종 통계연보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었으며, 보건의료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훈대상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외 주요 국가들의 동향을 알아본 결과, 정확한 통계자료는 현재 제대군인들이 직면한 문제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새로 입안된 정책이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이어, 통계자료만을 전문적으로 수집․분석하는 주체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또한, 미국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보훈병원보다 민간 위탁병원의 수가 많은 한국의 경우 위탁병원 진료의 효율성 문제가 좀 더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대만의 경우는 보훈병원을 이용함으로써 일반 시민들의 보훈대상자를 포함한 국가보훈에 대해 친밀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도 보훈 정책 특히 의료지원과 관련하여 일반 시민들과 더욱 폭넓게 접촉할 수 있는 사회화 방안에 대해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lth care service status of domestic veterans and to examine the trends of health care servic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After that, I tried to find out how to develop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nation s veteran. Currently, there are 851,968 domestic veterans in S. Korea.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a veterinary hospital and a private hospital is the charge for medical expenses. Also, the veterinary medical delivery system establish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system. As healthcare service information became available to veterinary hospitals, hospital computerization software was developed and processed through computer network to reduce manpower and processing time. In addition, the insurance billing system was developed and used to shorten the payback period of charged account receivable . As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ecame standardize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easily inquire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5 hospitals and various statistical yearbook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provide higher quality services to veteran pati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major foreign countries, the accurate statistical data shows what are the current problems that discharged soldiers are facing, and a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ew policy,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statistics professionally. Also, in Korea, where the number of private foster hospitals is higher than that of veterans hospitals directly operated by the US government, the problem of efficiency of foster hospitals should be examined with more weight. In the case of Taiwan, the use of the Veterans Hospital strengthens the intimacy of the nation s war veteran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s patronage. In our case, we also need to find out socialization plans that can make more extensive contact with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veterinary policy, especially medical support.
Ⅰ. 서론
Ⅱ. 보훈대상자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실태
Ⅲ. 결론 및 발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