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85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근대 교육관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viewpoint in Modern Korea

  • 2

고구려 태학의 설립 이후 조선 중기에 이르기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은 특권층의 점유물로써 일부층에 국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근대 교육관의 변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의 일환으로 사상사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 근대사는 실학사상가들에 의해 교육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제기되었다. 실학사상가들의 대중교육(공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들이 주장하는 학제개혁에 의해서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적 교육권에 대한 논의는 고종의 입국조서에 의해 구체화 되었다. 여기서는 한국 근대 교육관의 변천을 사상들(실학사상, 동학사상, 개화사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교육관 변천과 교육권 주장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실학사상가들의 교육관, 그리고 동학의 인내천 사상을 통한 민권사상, 그리고 개화사상가들의 교육관을 밝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viewpoint in modern Korea. This study try to explain educational viewpoint on the basis of Silhak thought(the realism), Donghak thought, and Kaehwa thought.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about. First, Practicalism is known to importance public education on the basis of education opportunity s equality, equalitarianism. Seconr, Donghak s humanism and equalitarianism was contain ideology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human respect and child respect. Third, Kaehwa thought has ready systemic foundation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known that public education of Korea companied with our thought. Today, solution public education s problem get achieved upright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of education s establishment.

Ⅰ. 문제의 제기

Ⅱ. 人物之際的 敎育觀

Ⅲ. 人乃天的 敎育觀

Ⅳ. 自强論的 敎育觀

Ⅴ.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