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교교육과정으로 일컬어지는 제7차 교육과정이 각급 학교에 적용된 지 7년 이상이 된 현 시점에서 학교교육과정 개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드러내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학교교육과정의 의미를 밝히고, 제7차 교육과정을 학교교육과정으로 규정하는 근거를 찾기 위해 7차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 개정 중점 사항, 교육과정의 편성 지침 중 ‘학교’의 일, 교육과정 평가와 질 관리 등 네 영역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요소를 고찰하였다. 또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교육과정의 의의에 대한 인식과 행동을 조사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인식과 행동 간의 불일치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6개교를 선정하여 학교교육과정 편성 담당 교사와의 면담과 각 3개 학교의 2007학년도와 2008학년도에 작성한 학교교육과정 책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난 수년 간 학교교육과정편성 경험이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는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학교교육과정은 편성 업무 담당교사가 기본적인 골격을 구성한 후 부서별, 학년별, 교과별 교사들에게 제시한 후 ‘빈칸 채우기’, 전년도 학교교육과정 기술내용의 기계적 반복, 형식적인 교육과정편성으로 인해 ‘편성’과 ‘운영’의 불일치 현상 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큼이 확인되었다. 특히,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관하여 집단적으로 심도 있는 토론이나 절차에 관한 논의가 없으며, 상황분석에 대한 이해와 실제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여 형식적이거나 이를 생략한 채 학교교육과정이 편성되고 있는 문제점이 드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of school curriculum developed by teachers, and to suggest for solve the problems. For achieve these purposes, define the meaning of school based curriculum, investigate the school curriculum elements in the area of organization policy of 7th revision curriculum, essential revise particulars, school works in principl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survey and analysis of data about the response of teachers on cognit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behavior, interview with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analysis the contents of school curriculum documents organized in 2007 and 2008 school year. As a result of study, although schools had accumulated experiences over the years of such organization, school 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is not yet settlement. Especially, many schools has mechanical repetition of last year curriculum document, formal writing the school curriculum document without group discussion and debate, and universally formal analysis on school situation and inappropriate use of those informations. As a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deas for solve these problems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Ⅰ. 서 론
Ⅱ.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뜻
Ⅲ. 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중심 교육과정적 요소
Ⅳ. 연구방법
Ⅴ. 실태 분석 결과
Ⅵ.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