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일반계와 전문계 고교 각 7개교를 층화표집을 한 후에, 28학급의 학생들을 단순무선표집하였다. 대학입시에 전념할 3학년 학생을 제외하고 1학년생과 2학년생 총 850명을 대상으로 학급 담임교사의 협조를 받아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기기입식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각 배경특성별 집단 간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 수준,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 하위영역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측정하였고, 임파워먼트의 변화로부터 학교적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 수준은 남녀간에는 차이가 없고, 일반계 고등학생은 전문계 고등학생 보다 수준이 더 높다. 부모님의 학력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높다. 둘째, 친구관계 수준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고, 일반계 학생보다 전문계 학생이 더 높다. 부모님의 학력이 높은 학생보다 낮은 학생의 친구관계 수준이 더 높다. 셋째, 학교적응 수준은 남녀간에 차이가 없고, 일반계 학생보다 전문계 학생이 더 높다. 부모학력간에는 일관된 경향이 없다. 넷째, 친구관계 수준은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은 높다. 다섯째, 임파워먼트 수준과 친구관계는 상관이 없으며, 학교 적응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여섯째, 임파워먼트는 학교적응 중 친구적응에 대해 23.1%, 생활적응에 9.0%, 그리고 수업적응에 0.5%를 설명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friendship and school 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0 students of the high school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 PC+ 12.0. The statistic methods applied were the one-way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imple regres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the empowerment level is no different betwee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The empowerment level is higher among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empowerment level is. Second,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students who had parents with a lower academic background than those who had higher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is no different betwee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The school adjustment level is higher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a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Fourth, the friendship level is no different by the empowerment level. The higher the empowerment level,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level is. Fifth,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level and the friendship level. There is a pass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level a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Finally, the empowerment affects 23.1% of the friend adjustment, 9.0% of the life adjustment, and 0.5% of instruction adjust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