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887.jpg
KCI등재 학술저널

토론식 수업이 학부모·교사·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bility of the moral judgement to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with the debating class

  • 3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토론식 수업이 학생과 교사의, 가정에서의 토론활동이 학부모와 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남원시 학생 186명, 교사 40명, 그리고 학부모 177명을 표집하여 실시되었다. 사전 실태조사를 통해 분석한 후, 학교현장에서 토론식 수업 및 다양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여 실시하였다. 도덕적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견과 토의를 통해 도덕적 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가정에서 가족회의 및 토론활동을 통해 학부모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Cronbach s α계수 산출,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t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도덕적 가치 판단능력에 대한 학생의 인식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둘째, 도덕적 판단능력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변화에도 의미 있는 통계 결과를 보였다. 이는 가정에서의 토론활동에 단순히 가족의 대화수준을 넘어 도덕적 판단능력에 대한 다양한 사고의 관점에서 교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도덕적 판단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에 있어서도 긍정적이며, 유의미한 통계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판단능력에 대한 학생인식 변화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통계 결과로 토론식 수업이나 여러 상황에서의 도덕적 사고력이 도덕적 판단능력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가정과 학교의 연계적인 교류 및 활동 등이 학생들의 도덕덕 가치 판단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학생들의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an aim to know if the debating class and debating activities have an influence on the ability of the moral judgement to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and parents and students at home. An object of study consisted of 186 students, 40 teachers and 177 parents in Namw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After the analysi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e debating class and a place for the various debate at the school field were arranged and conducted. At the moral circumstance, It was to know that the moral opinion and the debate had an impact on the moral ability to judge and that the family gathering and debating activities did. The research proceeded with the method of the technological statistics and calculation of Cronbach s α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and compared with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verification through the previous and post inspec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ognitive change of a student about the ability of the moral value showed the meaningful result and secondly the cognitive change of the parents indicated the significant statistic result. This debating activity was not just the family conversation, which was more than conversational and was allowed to exchange with the point of the various views. Thirdly, It showed the positive impact on the cognitive change of teachers about the moral ability and the meaningful statistical result. Lastly, with the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 under the cognitive change with the moral ability to judge, the debating class and the moral thinking skill affected the moral ability to judge. As The research processed with the constant connection and activity between the family and school, Students moral ability to judge value could be improved and moreover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al change of students.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