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90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내 다문화교육 경험과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24

다문화사회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계의 노력은 한국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병행될 때 그 효과가 증대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무엇보다 한국학생들을 겨냥한 다문화 의식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 교육경험사이의 상호관련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내 다문화교육 경험, 성별, 학년 세 가지를 독립변인으로 놓고, 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보여주는 4가지 하위요소인 다문화 친숙도,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다문화 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그 상호간의 관련을 규정하였다. 251명의 일반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일원중 다변량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개의 종속변인에 대해서 성별, 학년 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학교 내 다문화 경험은 차이가 있었다. 이원중다변량분석결과 4개의 종속변인에 대해 학교 내 다문화 교육경험 정도와 성별(남·여)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즉 학교 내 다문화교육경험과 학생의 다문화 인식은 의미있는 상호관련을 보였다. 학교 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한국학생을 위한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experience, stud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students awareness toward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multiculutral efficac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ne-and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form the analyses were as followed: Fri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nd between the 1st grade and the 2nd grade rega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different gender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at school.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