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예비교사들의 저널쓰기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Modes of Journal Writ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이 글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저널쓰기에서 드러난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반성 의 수준과 특징을 가늠하는 데 있다. 첫째, 저널쓰기 과제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유형(830편, 57.2%)은 무관심한 글쓰기였다. 무관심한 글쓰기의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과업 혹은 과제로써 글쓰기, 예비교사의 맥락보다는 대학생의 입장에서의 글쓰기였다. 무관심한 글쓰기는 학점이수와 높은 성적을 획득하기 위한 인위적 글쓰기 전략에 불과하였다. 둘째, 저널쓰기에서 두 번째로 자주 출현한 저널쓰기 유형(380편, 26.2%)은 자기-동정적 저널쓰기였다. 자기-동정적 저널쓰기의 전략으로는 텍스트의 주제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삶과 체험을 연결하기, 교육이론을 교육실천에 적용하거나 교육실천을 교육이론에 적용하기였다. 그러나 자기-동정적인 저널쓰기는 자기-제한적 글쓰기 전략에 머무른 한계가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저널쓰기에서 가장 낮은 빈도의 유형(240편, 16.6%)은 공감적 저널쓰기였다. 공감적 저널쓰기의 전략으로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재발견하기, 미시적 생활세계와 거시적 맥락의 연결을 통한 교육적 통찰을 획득하기, 교육실천 속에서 교육이론을 생성하기였다. 공감적 저널쓰기는 인위적 및 자기-제한적인 글쓰기 전략 넘어서 ‘참된 성찰’로서의 글쓰기전략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저널쓰기의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예비교사의 반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reflection through analyzing the modes of journal writing(JW) task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irstly, the apathetic writing(830 articles, 57.2%) was the most frequent mode in journal writing. The specific writing strategies of apathetic writing were writing as works or assignments, and writing in college student contexts rather than pre-service teacher contexts. The apathetic writing was merely a factitious writing strategy to obtain two credits and high grade. Secondly, the self-sympathetic JW(380 articles, 26.2%) was the second frequent mode in JW. The specific writing strategies of that were linking life and experience of past and present with topics of text, and applying theory into practice or practice into theory. However, the self-sympathetic JW was characterized a self-restricted writing strategy. Thirdly, the empathetic JW was the most rare mode in journal writing. The specific strategies of empathetic JW were rediscovering identity and role as a pre-service teacher, gaining educational insight by connecting micro life-world with macro contexts, and theorizing in educational practice. The empathetic JW as an authentic reflection transcended factitious and self-restricted writ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suggest a educational insight for 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grasping the modes in journal writing.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고찰: 저널쓰기의 유형과 반성 수준

Ⅲ. 연구방법

Ⅳ. 초등 예비교사들의 세 가지 저널쓰기 유형

Ⅴ.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