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 실태와 인식도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연구주제는 첫째, 교육복지 네트워크 조직 실태와 문제점, 둘째, 교육복지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저해요인을 분석하고, 셋째, 네트워크 활동 수준을 개선시킬 운영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주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전라북도내 교육복지우선지원 대상학교의 네트워크 실태 자료를 조사하였고, 해당학교 복지담당 전문가 및 교직원 35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는 해당학교들의 2012~2013년도 교육복지우선지원 내역과 활동수준에 대한 인식도 자료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복지 네트워크 조직 실태 조사 결과 첫째, 내부규정으로 인한 외부기관 참여역할이 미약함, 둘째, 교육청 직원 중심의 협의체 구성으로 다양한 인원 구성의 문제점, 셋째, 외부기관 유치전략 등 중단기 계획 미수립, 넷째, 다각적 모임의 비활성화 문제가 있었다. 인식도 조사결과에서 첫째, 전반적인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고, 그 이유로 담당자 업무과중(57.1%), 외부기관에 대한 선입견(57.1%), 행·재정적 지원 부족(48.6%)의 인식이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조직화 대안으로 협의회 기능의 분화와 지역의 권역별 협의회 구성, 규정 조례화를 들었고, 네트워크 운영상의 대안으로 인적·물적 자원의 데이터베이스화, 사업과 정보교류 활성을 위한 커뮤니티 구성 및 인식도 개선을 위한 홍보 등 정례모임 강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educational welfare status and recogn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network activity of the school education specialist. To study in the educational welfare of the network data, Jeollabuk-do school was investigated, and examined 35 people awareness of welfare professionals, teachers and school faculties.. Survey of the school year of 2012-2013 educational outreach priority support awareness of history and activity level,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ata by using SPSS 15.0 for descriptive. Network organizational problems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regulations is weak due to the role that external agencies involved. Second, few number of external participants officers did not vary the configuration. Third, external agencies, such as attracting strategic planning, was not established. And the last, there was not frequent meeting and council for networking. Awareness of the network activity in the survey, integrated support system does not work well. According to the survey recognized, resource exchanges were not in active (57.1%), external agencies prejudice (57.1%), and financial support to low (48.6%). The following points are proposed as an alternative : ordinance should be enacted so that the network can reliably. Each region should make a lot of small councils to activate the functional network. The meeting involved a lot of civilians must be configured. To improve the community regular meetings of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is proposed.
Ⅰ. 서 론
Ⅱ. 교육복지 네트워크의 이론적 배경
Ⅲ. 교육복지 네트워크 조직화 실태와 문제점
Ⅳ. 교육복지 네트워크 인식도 분석
Ⅴ. 교육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대안
Ⅵ.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