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역량강화 지원사업 선정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of universities receiving the support of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s Educational Competency (PEUEC)

본 연구는 교육역량강화 지원사업과 관련한 지표를 토대로 교육역량강화 지원사업 선정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정도를 자료포락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정대학의 48%가 효율적인 대학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대학의 특성은 지방 소재, 학생 수 중규모(5천명~1만명), 사립대학 등으로 대학별 특성화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역량강화사업 등을 통해 대학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면 첫째, 정부는 사업의 목적과 방향성을 선명히 함으로써 자율집행의 원칙에 따라 대학별로 예산 집행 분야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있는 효율성 저하 요인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은 투입축소보다는 산출의 확대를 목표로 하며, 대학별 상황적 특수성을 고려한 전략적 대응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비효율적인 사업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정사업단의 특성을 고려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e efficiency extent of universities receiving the support of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s Educational Competency (PEUEC) based on the indices related to PEUEC by apply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48% of universities receiving the support of PEUEC were efficient.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universities were; (1) they were local universities, (2) they were intermediate scale in terms of number of students (5,000 to 10,000), and, (3) they were private universities. These efficient universities were found to have high extent of characterization by university.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universities through PEUEC; (1) government should make the purpose and directivity of PEUEC clear to minimize decrease in efficiency because each university has different budget item when they execute budget based on the principle of autonomous budget execution, (2)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increase in output rather than decrease in input while establishing strategic response plan considering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 of each university, and, (3)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nefficient project groups, it is required to approach the subjec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osen project groups.

Ⅰ. 서론

Ⅱ. 상대적 효율성의 개념과 DEA 투입·산출변수의 분류

Ⅲ. 분석대상 및 자료 처리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