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창의성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어 사용 현상과 국어 교육 현상 속에서 창의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구성 요인을 어느 정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 그 논의 수준은 총론 수준에 머문 채, 구체적인 각론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교육의 본질에서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이끌어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어과 창의성 프로그램이나 교수 학습 자료들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창의성 신장을 위해 개발된 자료와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4개의 국어 수업을 교사의 질문, 교사의 반응, 수업 참여 구조의 기준에 따라 국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교사의 질문 양상에서는 창의력을 돕는 질문보다 창의력을 저해하는 질문 유형이 않았다. 창의력을 돕는 질문으로는 개방적 질문을 하는 경우, 판단 유보 과정을 부여하는 질문이 있었다. 창의력을 막는 질문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질문, 독창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질문, 정교성을 저해하는 질문이 많았다. 교사의 반응 양상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돕는 교사의 반응은 극히 적었고, 창의력 신장을 저해하는 교사의 반응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반응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반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사의 적절하지 못한 반응으로 창의적인 언어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예를 들면, 동기성과 판단유보가 결여된 반응, 동기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반응, 독창성을 방해하는 반응 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대화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의 질문이 매우 적었다. 주로 정답관을 가진 교사 주도 참여 구조나 비개방적인 교사 주도 참여 구조가 이와 같은 수법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 창의적인 수업에서는 화제 선택권이 학생에게 개방되어 있고, 순서 교대도 학생에게 개방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보였다. 그것은 개방성을 지닌 학생주도 참여 구조와 활동성과 융통성을 촉진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형성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창의적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국어 교사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질문 기법을 수업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반응이 창의적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창의적인 교사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춰 학생 주도의 수업 참여 구조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Lately, there ate also many research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research shows us not only what creativity means and what it is composed of, in Korean language usage and education, but al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creativ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promoting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lay emphasis on factors which can increase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teaching process. Bu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se material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o I monitor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s in 4 elementary schools. my check points in observation were the question of the teacher, the reaction of the teacher and talk interaction which occurred by the criteria of exchange of the topic and tur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en I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teacher, those affected more often as obstacles rather than as incentives to promote the creativity. In the analysis of the reactions of the teacher, those also affected negatively in promoting the creativity. When I studi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e teachers played the main role and the student s participations were ra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the teacher. We should reflect ourselves in the aspects of promoting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ct ourselves.
Ⅰ. 서론
Ⅱ. 국어 교육과 창의적 사고
Ⅲ. 창의성을 신장하는 국어과 수업의 특성
Ⅳ. 창의성을 신장을 위한 국어과 수업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