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한·일 초등교사의 시민의식 비교

Comparison of Civil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3

사회과 교육의 목표가 시민성 교육 또는 민주시민 자질의 형성이라는 점은 합의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시민성, 민주시민의 자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료하게 규정된 바가 없다. 이는 직접 사회과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시민성에 대한 이해와 민주시민의 자질에 인식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과 잇닿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 양국의 초등교사들의 시민의식 정도와 현재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공보처(1997)와 한국교육개발원(1994)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중에서 본 연구문제 해결에 관련되는 항목을 추출하여 1) 초등교사의 시민의식, 2)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개의 큰 주제를 내용으로 한 질문지로 재구성한 것이다. 일본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는 한국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를 번역한 것이다. 한국은 266명, 일본은 4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에디팅, 코딩, 펀칭,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2.0을 이용 전산처리 하였다. 한국과 일본 초등교사의 시민의식과 민주시민 자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준법실태 인식은 일본에 비해 매우 낮고 준법의식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권리 실태 인식과 권리 의식에 있어 일본은 평균 이상이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았고 한국도 평균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양국 모두 공익이나 공적 관계보다는 사익이나 사적 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의 초등교사들은 일본 소학교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국의 시민의식에 대해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개 분야의 시민의식 중 평균 이상의 높은 결과를 보였던 분야와 사회과에서 길러주어야 민주시민자질 중 강조하고 있는 분야가 일치하는 것으로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시민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사회과의 민주시민 교육에 대하여 일본은 50% 이상이 한국은 80% 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원인을 한국의 초등교사들은 교육행정 체제 및 교육제도에서 찾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민주시민 교육을 교과 내용으로 학습되기보다는 학교와 사회의 풍토를 기반으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양국 모두 실태와 의식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일본은 의식에 비해 실천이 앞서 있는 반면 한국은 의식은 앞서 있으나 실천이 뒷받침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의 시민의식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민주시민 교육 나아가 사회과교육의 방향 제시에 있어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