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Physical Education studies apply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 36

이 연구는 과거 체육교과에서 이루어졌던 기능 중심의 평가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수행평가의 중요성 증대와 더불어 관련 연구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출발하게 되었다. 수행평가와 관련된 연구물들은 여러 교과에서 존재하고 있고 지금도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체육과에서 이루어진 논문들은 수행 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의 실태조사 및 실제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학교 체육 현장에서 근거기반교수(evidence-based instruction)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ochrane 연합에서 제시한 방식에 따라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20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운동기능, 운동지식, 학습태도의 학습영역과 연구대상, 신체활동 영역, 수행평가 방법의 중재변인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의 전체 학습영역 크기는 0.54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학습태도(ES=0.61)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졌으며 그다음 운동지식(ES=0.54), 운동기능(ES=0.48) 순이었다. 둘째,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의 중재변인별 효과크기 중 연구대상은 중학생(ES=0.61)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졌으며 그다음 초등학생(ES=0.51), 고등학생(ES=0.43) 순이었다. 신체활동 영역에서는 표현 활동(ES=0.65)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졌으며 그다음 도전 활동(ES=0.58), 경쟁 활동(ES=0.52) 순이었다. 건강 활동과 여가 활동은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할 수 없었다. 수행 평가 방법에서는 서술형 영상평가 방법(ES=0.84)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졌으며 그다음 자기평가(ES=0.53), 동료평가(ES=0.53), 포트폴리오(ES=0.51)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연구의 전체 학습영역 및 중재변인에서 모두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학습영역, 연구대상, 신체활동 영역, 수행평가 방법을 수행평가의 본질적 목적에 맞게 체육수업에 적용하여 진행한다면 전통적 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보다 학습영역 및 중재변인에서 그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