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초등학교에서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분석 및 과학불안도와의 관계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Relationship with Science Anxiety

  • 2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에서 과학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학습 환경의 하나인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초등학생과 과학 지도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 불안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및 6학년 28학급, 723명의 학생과 과학 지도 교사 28명으로 교사의사소통행동과 과학불안도에 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교사의사소통행동 설문지는 TCBQ를 사용하였고 과학 불안도 검사 도구는 SAMS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설문지는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는 t-검증,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사소통행동 평균은 3.41로 리커르트 5단계 척도의 중간값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5학년이 6학년보다 교사의사소통행동의 모든 하위 영역(도전적 발문, 격려와 칭찬, 비언어적 지지, 이해와 친근감, 통제)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이해와 친근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통제 영역에서는 성별과 학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둘째, 과학불안도는 학년과 성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과학불안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과학 불안도 사이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의사소통행동의 하위 영역 중 격려와 칭찬과 과학 불안도와의 상관 관계가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통제 영역이 가장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사소통행동을 비교한 결과 교사는 학생보다 자신의 교사의사소통행동 방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자신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교사의사소통 행동 방식과 실제로 인식하는 교사의사소통행동 방식 사이에 통제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하위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도전, 격려와 칭찬, 이해와 친근감, 비언어적 지지에서 교사가 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통제 영역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의 차이와 이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과학 불안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교사는 자신이 조성한 교사의사소통행동에 대해 학생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통해 교사는 학생과의 의사소통을 보다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이를 통해 학생의 과학불안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TCB) and student`s science anxiety. The study performed at four schools in Seoul and Gwangju. Th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CB questionnaires using TCBQ and science anxiety questionnaire using SAMS were employ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tudents recognized the TCB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valu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grade level. The TCB awareness average was higher in 5th grade students than in the 6th graders. Among the five sub-categories such as challenging, encouragement and praise, non-verbal support, understanding and friendly, and controlling, female students recognised understanding and friendly more positively than the mal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grade levels and genders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anxiety.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6th grade and female students to have higher science anxiety than the 5th grade and male students respectively. Finally, the teachers ha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their own TCB than the students. The teachers answered on two questionnaires, their own perceived TCB and their ideal TCB. The teacher rated the ideal TCB model more positively in all sub-categories except in the controlling area. The teacher`s own perceived TCB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student`s TCB in all sub-categories except in the controlling area.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found that TCB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science anxiety of students was correlated. If there is greater awareness of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science anxiety of students in learning environments could be reduced.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