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영토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독도교육을 사례로

Perception of Territory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Case of Dokdo Education

  • 82

세계화라는 거대한 물결 앞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변화 안에서도 영토는 여전히 그 존재 의미가 유효하며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삶에서 중요한 영토의 문제를 다루는 영토교육은 그 중요성이나 의미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효과성에 대해서도 많은 의문을 남기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영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독도교육에 대한 관점은 주로 교사의 연구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 관점에 따라 독도교육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에서 차이가 분명하였다. 독도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교사 인식은 여전히 민족주의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민족주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다양하였다. 또한 독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현재의 독도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전향적 관점에 의해 국가 주도 정책으로 의무화된 독도교육에 많은 교사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으며 일부 관심 있는 교사에 의해서만 독도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독도라는 공간이나 독도 문제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독도에 더 많은 관심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울릉도집단이나 독도학습 경험이 풍부한 집단 학생 역시 마찬가지였다.

Amid a lot of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the huge wave of globalization, the existence of the territory still has a significant meaning and has an enormous impact on our lives. However, territory education that covers territorial issues which are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is not being sufficiently provid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meaning and there are many questions about its effectivenes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sought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erritor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spectives on Dokdo education were formed mainly by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and the aspects of Dokdo education they put emphasis on were remarka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perspectives. It was confirmed that most teachers`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was still based on nationalism. Teachers` perception of such nationalistic aspects was varied. The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by teachers also revealed that the current Dokdo education is not being provided in effective ways. Not many teachers took an interest in Dokdo education made mandatory by the government-led policy based on a forward-mapping viewpoint and only a small number of teachers were providing Dokdo education actively. The majority of student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he area of Dokdo and the issues about Dokdo. The groups of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be more interested in Dokdo including the Ulleungdo group and the group of students who had a lot of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Dokdo did not take much interest in Dokdo, either.

Ⅰ. 서론

Ⅱ. 독도교육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