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초등학교 아동들의 공간포섭에 대한 이해

Elementary Schoolchildren`s Understanding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 6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사회과의 지리 학습에서 아동들의 공간인지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형성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공간 포섭에 대한 이해도 수준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공간포섭 이해 수준에 이르게 된 사적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는 학습자의 공간인지발달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이를 적용한 지리 학습 방법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리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소재의 동변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 각 학년 당 한 학급씩을 임의 표집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 포섭에 대한 이해도 수준을 그래픽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통해 공간포섭에 대한이해도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 아동들의 공간 포섭에 의한 공간 인지 발달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5~6학년 수준에서 5개 스케일(동, 구, 시, 국가, 대륙)에서 공간포섭이 완성 단계에 이른다고 할수 있다. 특히 공간포섭 완성단계에 이르기 전인 4학년(만10세)의 아동들은 공간 포섭을 통한 공간인지에서 결정적 시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므로 그 발달 과업을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방법을 통한 공간 학습이 필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포섭 경향성에서 벗어나는 아동들의 면접을 통해 공간포섭을 통한 공간인지 정도를 언어성 문답을 통해 살펴본 결과로는 그래픽적 표현보다는 상위의 수준의 공간인지 발달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구체물 조작을 통해서 공간 스케일이 큰 것 순서대로 배열해 보기와 같은 스케일 지역으로 분류해 보기를 하였을 때 더욱 상위 수준의 공간포섭 수준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인지적 특성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의 공간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초등학교 아동에게 공간 학습을 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공간 인지 발달의 결정적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 아동에게는 구체적 조작기에서 형식적 조작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인지적 특징을 보임을 알고, 언어나 문자를 통한 학습과 아울러 구체물을 통해 공간 범위 그려보기 활동이나 지도학습에서 지리적 스케일이 다른지역의 퍼즐을 이용하여 더욱 상위 스케일 지역 완성해 보기 활동 등을 통해 공간 포섭에 대한 발달 과업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공간 인지의 발달에 있어서도 다른 인지발달과 마찬가지로 직접적 이면서 적극적인 공간 경험이 학습자의 공간포섭 능력이나 공간인지력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In order to examine the stages that children go through for the formation of spatial cognition,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schoolchildren``s understanding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and analyzed personal factors involved in their understanding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For this purpose, we sampled at random a class from each of 1st-to6th grade classes at Dongbyeon Elementary School in Dongbyeon-dong, Buk-gu, Daegu, and examined their development in understanding nested hierarchy of space through representing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in graph. According to the results, 1st-to6th grade children showed gradual development of spatial cognition by nested hierarchy of space, and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 reached the completion stage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In particular, 4th -graders(10 year old) before the completion stage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were in a crucial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gnition through nested hierarchy of space, so they were in need of spatial learning through various learning methods so that they would complete the development smoothly. We interviewed children who deviated from the tendencies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and examined their spatial cognition through nested hierarchy of space by verbal questions and answ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y showed spatial cognition development higher than graphic expressions. Furthermore, when the children classified areas in order of spatial scale and same-scale areas through concrete operation,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nested hierarchy of space. This means that elementary schoolchildren``s cogni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in their spatial learning in Geograph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lementary schoolchildren need spatial learning using various methods. In particular, 4th-graders who are in a critical period for spatial cognition development, show cognitive characteristics transitional from the concrete operational stage to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so it is important to achieve development for nested hierarchy of space through, in addition to verbal or text-bas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rawing the scope of space using a concrete material or completing higher-scale areas using the puzzles of areas in different geographical scales. Moreover, it will be greatly helpful to spatial cognition to provide diverse direct spatial experi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