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90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 이론적 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Viewing school bullying as a violation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ts implications for resolving bullying

  • 29

학교폭력을 자존감 훼손이나 보편적 인권과 존재 가치의 훼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면,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이론이 적절하고 필요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정관계이론은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폭력을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규범적 토대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나아가, 인정관계이론은 학교폭력 발생으로 훼손된 상호인정관계의 회복실현을 중시할 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 어떻게 상호인정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헤겔의 인정투쟁에 기초하여 인정관계이론을 발전시킨 호네트는 학교폭력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학교폭력 해결이라는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인정관계이론의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정관계이론의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새롭게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교폭력 대응의 차원에서 상호인정관계 회복이 얼마나 중요하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어떠한 정책적 전환이 필요한지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정이론적 접근방식 속에 회복적 정의의 접근방식과 인권교육을 어떻게 보완·통합하고, 나아가 입시교육의 틀을 바꿈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개성이 어떻게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If it is valid to understand the school bullying as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must be the most needed and proper theory. It is because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provides normative foundations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school bullying in terms of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Moreover,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not only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damaged by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to discuss how to establish the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n a precautionary aspect. Even though Axel Honneth s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hich is based on Hegel s struggle for recognition , doesn t focus on the school bullying matter, we can develop the discussion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ith resolving school bullying in mind.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chool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recognition struggle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school bullying. And this study not only showed how important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s in dealing with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suggested what policy transitions were needed for realizing the restora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discussed ways of complementing and integrating restorative justi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thereby respecting student diverse abilities and individuality.

Ⅰ. 서론

Ⅱ. 무관용주의 한계에 따른 회복적 정의의 부상

Ⅲ. 인정이론과 학교폭력의 이해

Ⅳ.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인정이론의 함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