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90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School Climate and School Effectiveness

  • 14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의 풍토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광역시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306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학교풍토, 학교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각각 M=3.63, M=3.26, M=3.96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평교사보다 보직교사가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 학교풍토, 그리고 학교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r=.49, r=.47). 셋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교풍토와 학교효과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4.19%, 20.99%). 감성적 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자기인식 능력은 학교풍토(β=.416, t=7.003)와 학교효과성(β=.340, t=3.046)에 의미있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장은 자신의 감성적 리더십을 개발 및 촉진함으로써 허용적인 학교풍토 조성과 학교효과성을 높일 수 있기에 학교운영의 변화 모색을 지향하는 현 시점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teacher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is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 s background variable. The study also analyzed correlation with the three variables and influences of emotional leadership upon sub-variable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in gender and rank of teachers for the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nk for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and emotional leadership g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reased when emo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were input at the same time. In the end, it was kn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use ability to recognize oneself among variable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variables of devoted behavior, friendly behavior, and indifferent behavior among variable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can improv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organiz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