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Robot Based Education

이 연구는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현장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를 분석하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1)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담당교사의 일반적 인식 2) 로봇활용교육의 수행 실태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3) 로봇활용교육 확산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방안에 관한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전반적으로 로봇활용교육이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자신이 로봇활용수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 로봇활용교육 수행실태에서, 로봇활용교육이 교수·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는 ‘로봇의 잦은 오류로 인해 수업 시간이 낭비되기 때문’, ‘로봇매체가 수업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해서’, ‘수업내용보다 로봇을 조작하는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로봇활용교육의 장점으로 수준별 교육에 적합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로봇활용교육 확산을 위해 보완이 필요한 요소로, 교과내용에 맞는 맞춤형 로봇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로봇활용교육 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연수로는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현장 사례 연수’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학교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요소로 ‘로봇활용교육에 필요한 연수지원’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향후 로봇활용교육 확산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자료로 ‘로봇활용교육 지도 방법’과 ‘교육에 필요한 맞춤형 로봇’에 대한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was to offer questionnaire results of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RBE(Robot Based Education).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16 teachers who had had experiences on RBE. The surve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items: 1) Th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of RBE 2) The teachers perception of application of RBE in their class 3)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s supporting ideas for diffusing RBE.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three findings. At first, at the point of th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of RBE, the teachers had thought that RBE was effective on learning and instruction of their class and they had abilities carrying RBE out in their class as well. Second, at the poin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application of RBE in their class, many of them reported that the negative reasons of RBE in their class were the waste of instruction time caused by many robot errors. Robot media didn t support instruction contents efficiently, and more time was needed for students to manipulate the robot media than to comprehend their learning contents. On the contrary, at the point of the benefits of RBE, most of them showed that it was suitable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Additionally complementary factors for the diffusion of RBE, they presented that differentiated robots reflecting their curriculum fully was needed to provide with them, and especially in focusing on robot programming. The last, at the point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s supporting ideas for diffusing RBE, most of them requested teachers training on RBE s field cases. They mostly answered that the activity which had to be supported by school level was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RBE. In addition, they mostly suggested that the hardware and the software which needed to be priorly developed for the diffusion of RBE in the future were teaching methods and differentiated robot media of RBE.

Ⅰ. 문제의 제기

Ⅱ. 로봇활용교육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