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움직임에 미치는 단기 효과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Arm Reach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홍원진(Hong Won-Jin) 김용욱(Kim Yong-Wook) 김종배(Kim Jong-bae) 박지혁(Park Ji-Hyuk)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신경재활치료과학 제7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1
- 79 - 91 (13 pages)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상지 로봇 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진단을 받고 1회 1시간씩 상지 로봇 치료와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를 받았던 환자 20명의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서, 중재 전/후의 3차원 동작분석검사 결과 값을 토대로 두 중재간의 변화량을 비교 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결과 값을 파악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상지 로봇 치료를 한 경우 팔 뻗기를 하는 동안 팔굽관절 움직임의 순발력, 효율성, 부드러움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과 비교 하였을 때 팔굽관절의 부드러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단기적 상지 로봇 치료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시 팔굽관절 움직임에 효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상지 기능의 움직임 개선에 대한 효과 입증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to improve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ubacute stroke. Method :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the medical record. The subjects were 20 patients who were diagnosis with stroke within 6 months. All patients received gener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robot-assisted therapy and task-oriented training. Robot assisted therapy was composed of 1 sessions, 1hour per person and task-oriented training was same. For resul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ere used. Results : After intervention, all participants got 3D motion analysis about reaching. For the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moothness in robot assisted therapy(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obot assisted therapy and task-oriented training in speed, time. In this result, we knew the robot assisted therapy can short term effect in elbow joint during arm reaching. Conclusion : Robot assisted therapy is considered as alternative choice in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for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ubacute stage stroke pati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