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043.jpg
학술저널

건축디자인 스튜디오에서 BIM기반 화재 시뮬레이션의 디자인 의사결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IM-based Fire Simulation on Design Decision-making in th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57

본 연구는 건축학과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건축학과 전공 학생들의 건축디자인 수행 중에서 화재 성능평가 시뮬레이션의 효과에 관한 것이다. 즉, 건축디자인 과정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 화재 시뮬레이션이 디자인 의사결정에 주는 효과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 수행된 프로젝트를 통하여 개발된 화재 성상 시뮬레이션 도구인 FDSBIM이 건축디자인 과정에서 학생들의 디자인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FDSBIM은 BIM을 기반으로 한 저작도구 상에서 화재 FDS(Fire Dynamics Simulator)가 실시간으로 작동되고 BIM 저작도구에서 모델링된 3차원 설계안이 화재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학과 3학년 과정의 건축설계 스튜디오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 프로젝트에서 FDSBIM을 사용하게 하여 설계를 진행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은 주로 FDSBIM을 사용 이전과 이후에 자신의 디자인 과정과 결과물을 통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설문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몇 가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re performance evaluation simulation in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at is, the effec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based fire simulation on design decision making i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DSBIM, a fire simulation tool developed through previous projects, has an effect on students design i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FDSBIM is a system developed to enable fire 3D simulation of Fire Dynamics Simulator (FDS) in BIM based authoring tool and to be used for fire simulation in BIM authoring tool. For this purpos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of the third year of architecture course were asked to use FDSBIM in the design project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mainly to evaluate the changes in design decisions mad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FDSBIM through their own design process and outcome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1. 서론

2. BIM기반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

3. BIM기반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인 의사결정 효과연구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