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와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The degre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Marine Police Officers Relationship with Resilience
- 김순희(Kim Soon Hee) 이미화(Lee Mee-hwa)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11호
- 2018.11
- 269 - 276 (8 pages)
본 연구는 해양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와 회복탄력성을 파악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도록 돕기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부산, 경남에서 근무 중인 해양경찰관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양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안의 점수는 기술통계로 하였고, 측정한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양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는 평균 12.40±14.23점이었고, 고위험군 23명은 35.20±11.32점이었고, 저위험군 130명은 8.30±6.40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7.35, P=<.001). 회복탄력성은 평균 3.24±0.30점이었고, 고위험군 23명은 3.20±0.35점이었고, 저위험군 130명은 3.74±0.42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5.45, P=<.00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와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역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해양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예방과 사회적응 및 생활 안전을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elf management program to prevent post traumatic stress and to help normal lif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post traumatic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ine police officers. Data collection period was 153 marine police officers working in Busan and Gyeongnam from March 1 to April 30,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Ver. 21.0) and the scores of post traumatic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degree of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12.40 ± 14.23 in the marine police, 35.20 ± 11.32 in the high risk group and 8.30 ± 6.40 in the low risk group (t = 7.35, P = .001). The mean resilience was 3.24 ± 0.30 in the high risk group, 3.20 ± 0.35 in the high risk group and 3.74 ± 0.42 in the low risk group (t = 5.45, P = .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ine police offic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revention, social adaptation and self management program for life safet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