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043.jpg
학술저널

경상북도 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moking Experience in pper Grade Elementary School in Gyeongbuk Province

  • 53

본 연구는 경상북도 일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흡연경험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흡연경험이 있는 학생은 3.4%이며, 처음 흡연을 한 시기는 4학년 이상이 71.4%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가 흡연을 하는 경우는 63.7%, 어머니가 흡연을 하는 경우는 8.7%, 가까운 친구가 흡연을 하는 경우는 2.9%이며, 미래에 흡연을 할 의향에서는 흡연을 하겠다가 2.9%로 나타났다. 흡연경험에 대한 영향요인은 흡연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흡연경험에 없는 초등학생에 비해 가까운 친구의 흡연이 14.95배(Exp(B)) 높게 나타났으며, 추후 성인이 되었을 때의 흡연의도도 5.51배(Exp(B))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님의 흡연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흡연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까운 친구의 흡연으로 흡연에 대한 교육은 흡연경험이 있는 대상자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비흡연 학생에게도 교육이 필요하며, 또래집단을 형성하여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아가 효과적인 흡연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흡연 노출 시작 시기인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체계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moking experience among senior students aged 4 and above in elementary school in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nalyzed by number, and percentag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smok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3.4%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 of smoking and 71.4% of the students who had the first experience smoked more than the fourth grade. In addition, 63.7% of fathers smoked, 8.7% of mothers smoked, 2.9% of close friends smoked, and 2.9% of smokers were willing to smoke in the future.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moking was 14.95 times (Exp(B))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experience of smoking and 5.51 times(Exp(B)) of smoking when they became adults. However, parents smoking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not restrict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smoking due to close friends smoking, education is also needed for non-smoki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effective to educate the smoking education by forming a peer group.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and systematic research is sugges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