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 가구 주거 유형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Housing Typ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임보라(Bo-Ra Lim) 이도영(Do-young Lee)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11호
- 2018.11
- 493 - 511 (19 pages)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전통적 가족해체와 시장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1인 가구의 양극화 현상과 맞물려 주거공간의 공유를 포함하는 새로운 주거유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1인 가구의 주거정책, 주거요구, 주거유형의 3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주거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6개의 학습자원(학술논문, 학위논문, 전문자료)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내용분석은 일반화가 어려운 연구주제 또는 분야에서 객관적인 연구동향 파악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유용하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내용분석 결과에 대한 후속적인 검증작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로 1인 가구 주거에 관한 정책적, 사용자 특성별, 건축 유형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요구가 도출되었다. 특히, 5개의 1인 가구 주거유형이 심층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로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1인 가구 주거유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탐색 및 제시되었다. 향후, 주거정책, 주거요구, 주거유형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연구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resulted in disintegrating traditional families and changing housing market structu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ree keywords or research subjects such as housing policies, housing needs and housing types for the particular households. A total of 36 learning resources(academic theses, degree theses, professional reports) were explored for contents analysis, which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useful method to figure out a generalized tendency for such subjects. The results were proved via on-line based survey questionnaires. As a result, overall housing needs were analyzed based on political, use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Particularly, 5 types of housing were deeply examined in terms of spaces, which then lead to creating a set of guidelines for future korean single-person households. A more specific effort should be contributed to purify housing policy, housing needs and housing types for that particular popula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문제
4. 분석결과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