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 김영희(Yung-hee Kim) 조성제(Sung-Jae Cho)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11호
- 2018.11
- 469 - 480 (12 pages)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이다. 연구대상은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과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근속년수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상태, 종교, 직종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근속년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성별, 최종학력, 연령, 종교, 결혼상태, 직종에 따른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직무만족도는 사회적지지의 동료의지지, 상사의지지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재가 장기요양기관 근무자의 직무만족도에 중요한 영향력이 있는 사회적지지 정책 자료에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long - 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3 of the long - term care workers. The analysis method w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cheffe 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was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religion and occupation. Secon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of long - 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was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religion and occupation wa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ird, job satisfaction of long - 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support of colleagues and supervisors of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ill b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upport program which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worker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