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인터넷 기술과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발달로 인한 사이버불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청소년사이버불링에 곤한 연구가 이루어진 동향과, 변인별 사이버불링 가해 및 피해의 결과를 구분해보면서 향후 사이버불링 연구에서의 발전적인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이버불링 국내 연구 동향과 관련하여 연도별, 대상별, 주제별, 게재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이버불링 가해행동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을 개인변인, 환경변인, 또래변인 세 가지로 나누고,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으로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사이버불링과 관련된 국내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 청소년들의 올바른 사회적 적응과 가치관 형성을 돕기 위해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research on cyber bullying was increased continuously by the emerging situation of cyberbullying as a social problem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digital devic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asks on future research of cyberbullying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of imposing harms and suffering damag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youth cyberbullying. First,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years, reserch subjects, topics, and fields of posted articles among studies in Korea. And the results of cyberbullying damage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distinguishi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imposing damages of individual, environments, and peer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more research on cyberbullying in Korea and studies from social welfare aspect to help right social adaptation and formation of valu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