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을 위한 놀이치료연구 동향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Play Therapy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es Since 2000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미래사회복지연구
- 제9권 제2호
- : KCI등재
- 2018.11
- 39 - 70 (32 pages)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국내의 다양한 환경에 적용된 놀이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실천적용과 연구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은 2000년에서 2018년 6월까지 출간된 국내의 학술지 게재논문 140편을 대상으로 출처 및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치료접근 방법별로 구분하여 변인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처 및 연도별에서 미술치료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44편(61.1%)으로 가장 많았고, 2000년대 중반부터 연구편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에서는 진단을 받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2편(5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 중 치매노인 대상이 44면(61.5%)으로 많았으며, 연구대상 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36편(25.7%)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에서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85편(60.7%), 연구 설계는 실험-통제집단사전사후 검증이 43편(40.7%), 연구형태는 집단대상이 130편(92.9%)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추후검사를 실시한 논문은 9편(7.0%)에 불과했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에서 연구주제어에 따른 동향은 우울(58편)이 가장 많이 다루어진 변수였으며, 치료회기는 12회기 이하가 61편(43.6%)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치료 접근별 동향에서는 개별 활동을 통합한 중재접근 중 음악영역이 7편(50.0%)로 가장 많았고, 개별접근 적용에서는 미술작업이 73편(52.1%)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1. 서론
2. 이론적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