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224.jpg
KCI등재 학술저널

『송시정화록(宋詩精華錄)』의 평어(評語)에 나타난 진연(陳衍)의 시론(詩論) 초탐(初探)

A study on Chenyan(陳衍)’s poetics through 《Songshijinghualu(宋詩精華錄)》’s criticism term

DOI : 10.33213/THLJ.2018.0.22.389
  • 17

본 논문은 청말(淸末) 동광체(同光體) 시인이자 대표적 시학이론가인 진연(陳衍)이 편선한 『송시정화록(宋詩精華錄)』에 선집된 총 685수의 시편에 부기(附記)된 평어(評語)의 분석을 통해, 진연 시학이론의 핵심 내용이『송시정화록』을 선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었는지 고찰하였다. 동광체의 3대 유파 중 민파(閩派)의 대표 인물인 진연은 중국고전시가의 삼대 절정기를 ‘삼원(三元)’으로 간주하고 ‘숭당출송(崇唐黜宋)에 대한 반대’ 입장을 견지하는 과정에서 ‘詩不分唐宋論’을 표방하였다. 이는 곧 송시는 당시의 우량한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새롭게 빚어낸 결과물이며, 이 둘은 ‘원(源―당시)’과 ‘류(流―송시)’의 관계에 불과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러한 인식은 당대 시인과 송대 시인을 획일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역대 시인들의 장점을 두루 학습하는 것이 곧 학시(學詩)의 출발이라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진연은 먼저 ‘학인의 시[學人之詩]’를 추구하고, 궁극적으로 ‘학인의시’와 ‘시인의 시’의 결합을 주장하였다. 개인 정감의 발로를 중시한 당시가 전형적인 ‘시인의 시’라고 한다면, 학식의 바탕을 중시한 송시는‘학인의 시’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두보 시의 시법(詩法)과 풍격(風格)에 대한 학습이 곧 ‘시인의 시’를 체득하는 지름길이라 여기며, 『송시정화록』에 선집된 많은 시편들에 부기한 평어에서 두보의 시를 학시(學詩)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진연은 비록 종송파의 대표 인물로서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성정의 중요성 또한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 이 또한 『송시정화록』을 선집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반영되었으니, 만일 그가 ‘以文爲詩’를 표방한 송시의 산문화 경향을 고수하였다면 총685수 중 80%에 달하는 548수의 근체시를 수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즉 송시의 정화는 근체시에 있다는 인식이 진연의 머릿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이는 곧 성정(性情)과 흥기(興寄)를 중시한 당시가 선집의 기준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진연은 또한 창작 과정에서 ‘속되고 진부한 시풍’으로 빠져드는 것을 극력 반대하였다. ‘속됨’[俗]을 피하고 ‘고상함’[高]을 추구하며, ‘진부함’[熟]을 피하고 ‘새로움’[新]을 추구하는 학시 경향 또한 『송시정화록』의 개별 시편에 부기된 평어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리고 강서시파의 황정견이 주창한 작시 기법으로서의 환골탈태법과, 전대 시인들이 ‘이미 지어놓은 시구’[成句]의 ‘원래 의미’[原意]를 뒤집어 정반대의 의미를 지니게 하는 작시 기교상의 방법인 번안법의 활용을 중시하였다.

『Songshijinghualu(宋詩精華錄)』 is a collection of poetry that is selected and evaluated by applying his own poetic theories for the purpose of opposing the traditional ‘admires Tang neglects Song’tendency to learn poetry. The poetic theory of Chenyan(陳衍)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essence of the succession relation of Tang Song poetry. It encompasses the style and school of poetry of many poets of two dynasti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a specific work. The other one is the theory of general poetry, and the essence of poetry and criticism of individual works using it. The former is closely related to his‘Sanyuan(三元)’ theory, and the latter reflects his aesthetic viewpoint of appreciating the ancient poetry. These two can also be sai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ongshijinghualu(宋詩精華錄)』, which he selected, edited, and rated. Chenyan(陳衍) marked the points of the poetry that he edited and edited, and shows the evaluation of his poetic theory and poetry by annexing partly in plain. In fact, these criticism terms were often quoted as fragmentary material to those studying Songshi(宋詩). The contents of the criticism terms are very broad and include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title, the discussion of the writing method, the discussion of merit, the search for the source, the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of the two, the description of the influence of the latter, and the problem of correcting the problem. Also, when some of the critical terms is a little long, most of them have been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of the individual artists with the opportunity or explaining the tendency of the style of a certain poetry in an improvised manner. In this paper, firstly, we extracted the items with a close relation with the theory of poetry in the attached praise to 688 pieces of works selected in the 『Songshijinghualu(宋詩精華錄)』. W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ritical terms by translating the extracted critical terms at the same time and translating the original poem. I narrowed down the scope of research here and concluded by summarizing the relation between ‘succession relation of Tang Song poetry’ and ‘commentary of individual works’. Finally, we extracted the representative theoretical theory of the Chenyan(陳衍) shown in 『Shiyishi-shihua(石遺室詩話)』, I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riticism terms of 『Songshijinghualu(宋詩精華錄)』 and poetic theory of 『Shiyishi-shihua(石遺室詩話)』.

Ⅰ. 序論

Ⅱ. ‘詩不分唐宋論’ 표방

Ⅲ. 진실한성정이 담긴 ‘學人之詩’ 추구

Ⅳ. 속되고진부한시풍 반대

Ⅴ. 換骨奪胎法과翻案法의 활용 중시

Ⅵ.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