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현황 및 교육복지사의 위상강화를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Strengthening the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Workers
-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 상담복지경영연구
- 제1호
- 2018.12
- 21 - 38 (18 pages)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현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인력인 교육복지사의 처우 및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20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학생복지 차원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 성과의 주요 핵심 요인은 전문인력인 교육복지사의 역할이었다. 하지만 교육복지사의 위상은 초기와 크게 개선되지 않았고 이는 사업의 효과를 높이는데 제한점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시도의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의 현황과 교육복지사의 처우 등을 비교하여 이를 개선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strengthen the statu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analyzing the treatment and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welfare worker who is a professional manpower to do this. In the past 20 years,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has been accomplished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at the school site. The key factor in the achievement was the role of the education worker, a professional manpower. However, the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workers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at the initial stage, which is limi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In this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of 17 provinces nationwide and the treatment of education welfare workers were compar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it.
Ⅰ. 서론
Ⅱ.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교육복지사
Ⅲ.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전담인력 현황 및 실태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