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의 일-여가 갈등, 일-여가 촉진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 연구
Interrelationship Among Work-leisure Conflict,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Workers
- 신규리(Shin Kyu-lee) 박정열(Park Cheong-yeul) 손영미(Shon Young-mi)
- 한국여가문화학회
- 여가학연구
- 제16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1
- 39 - 58 (20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거주 남녀 직장인 총 537명을 대상으로 일과 여가의 균형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기존 연구가 매우 부족할 뿐 아니라, 기 수행 된 연구물들의 대다수가 일과 여가의 균형을 단일구조로 인식하여 연구 되어져 왔다. 그러나 신규리 외(2016)의 연구에서 일-여가 균형은 일-여가 간의 갈등과 촉진이 각기 상이한 구조로 구성됨이 밝혀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여가 균형을 설명하는 일-여가 갈등과 일-여가 촉진을 각기 구분하여, 한국 직장인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들의 일-여가 촉진은 직무 스트레스를 낮춰주면서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일-여가 촉진은 직무만족 증가에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둘째, 직장인들의 일-여가 갈등은 직무스트레스를 매우 높이면서 직무만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일-여가 갈등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증가에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일-여가 균형을 측정하는 일-여가 갈등과 일-여가 촉진이 각기 상이한 구조임이 실증적으로 재확인 되었다. 결국 일-여가 갈등을 낮추는 전략이 일-여가 촉진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경영자들이 자사의 경영목적과 경영환경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일과 여가 균형과 직무만족을 위한 선택적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work-leisure balanc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goal, we surveyed 537 male and female workers residing in Seoul. Shin et al. (2016) show that the work-leisure balance has a double structure consisting of work-leisure conflict and work-leisure facilitation, although most works in prior literature identify the relationship in a single structure. This work further deepens the approach in Shin et al. (2016) by empirically examining how work-leisure balanc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stress through the work-leisure conflict and facilit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eisure facilitation reduces the job stress and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Here, the work-leisure facilitation is closely related to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work-leisure conflict increases the job stress and reduces the job satisfaction. Here, the work-leisure conflict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job stress. By these findings, we can empirically affirm that the structure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work-leisure conflict is different from that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work-leisure facilitation, so that reducing the work-leisure conflict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e increase of the work-leisure facilitation. Business managers need to choose appropriate strategies for work leisur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business goal and environment of their busin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