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307.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디지털 에이징 정책의 현황과 과제

Current Issues and Tasks of Digital Aging Policy in Korea

  • 252

우리나라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고령사회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 등의 기술인데, 그 핵심기술을 잘 응용할 경우 노화로 인해 어려움을 지닌 고령자들이 생활영역의 제품 및 서비스를 받으면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고령자들이 제품 및 서비스의 발달에 따른 혜택을 얻기 위해서는 고령자 각각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가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미래의 고령자들이 생의 후반기에서도 생활상의 큰 변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우리나라의 디지털 에이징이나 스마트 에이징 정책 차원에서 조망하였다.

Korea has begun to change into the aged society with the dawning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key technologies in the era would be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robot, and so on. The older adults in the era may be able to maintain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emporary older adults with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with applying the technologie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the products and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o tailor to different types of elderly users who might have a variety of needs, and further should be supplied inexpensively to them. How the likelihood that the Korean older adults maintain the better quality of life would be in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era was reviewed in the context of policies on digital aging or smart aging in this article.

Ⅰ. 고령화와 디지털 에이징

Ⅱ. 디지털 에이징 기술 현황

Ⅲ. 국내외 디지털 기술의 현황 비교

Ⅳ. 과제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