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358.jpg
학술대회자료

음악실기교육에서 성취목표 유형과 그룹연습이 자기효능감과 연습 및 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82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룹연습이 대항 음악 전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연습 및 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 A대학교 음악전공 학생들(실용음악, 작곡, 국악)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성취목표지향성, 연습 및 연주만족도의 3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개별 성취목표지향성 평균점수들을 중앙값을 기준으로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고, 실기시험을 일주일 앞두고 실시된 그룹연습의 빈도(0번~5번 이상)를 기준으로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구분한 후, 두 개의 독립변수로 자기효능감, 연주 및 연습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연습은 자기효능감과 연습 및 연주만족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성취목표유형(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주효과가 없었으나 숙달접근과 그룹연습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했다. 숙달접근 상집단은 그룹연습이 많을수록 연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숙달회피가 낮을수록 연주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성취목표유형과 그룹연습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숙달회피와 그룹 연습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숙달회피 하집단은 그룹연습의 영향이 적었으나 숙달회피 상집단은 그룹연습이 많을 경우 자기효능감이 더 높았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