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영아반 옥내중간놀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in a nursery school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제1권 제2호
- : KCI등재
- 2016.12
- 47 - 79 (33 page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옥내중간놀이터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영아와 교사에세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만 2세 열매반 영아 13명과 교사 3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6년 1월 25일 부터 5월31일까지였다. 연구방법은 Mills(2003/2005)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에 따라 옥내중간놀이터의 개선점을 인식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옥내중간놀이터에서 진행한 과거 활동 분석과 평가, 비품과 교구 현황을 파악한 후, 발현적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실행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1차 실행부터 4차 실행에 걸쳐 수집한 자료는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영아는 옥내중간놀이터에서 과학과 수학 교과 관련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주도성, 호기심, 관찰력 등의 학습 성향을 증진시키며 보다 적극적으로 감각탐색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교사는 환경적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장하고자 노력하였고,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건축설계자나 사업주, 원장, 보육교사에게 옥내중간놀이터 를 활용한 실제적 사례를 제시하며,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을 보다 다각도로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ecute a plan for using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Yeolmae Class efficiently and determine its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3 two-year-olds and 3 teachers of Yeolmae Class in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the class at a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in Seoul from January 25 to May 31, 2016. Through Mills(2005)’s action research, the previous activity in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was analyzed and assessed and equipment and instruments were inspected; then, a specific plan for using it was developed and executed on the basis of emergent curriculums.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s at nurseries was followed by development of the first execution plan, the first execution, assessment of the first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plan, the second execution, assessment of the second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ird execution plan, the third execution, assessment of the third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urth execution plan, the fourth execution, and assessment of the fourth execution and the final assessment. Through these execution plans,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Yeolmae Class became useful to run childcare and curriculums of the class properly, closely connected and expanded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and became a nature-friendly space to experience nature on a daily basis. The teachers made efforts to recognize and promo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mpetence and got a better understanding of emergent curriculum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