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실행 수준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level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 9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중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권리의 실행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실행 수준은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동권리의 하위 영역 별로 살펴보면,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중 생존권에 관한 실행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발달권에 관한 실행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 변인데 따른 아동권리 실행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경력이 높은 교사집단에서 아동권리 실행 수준이 평균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관 변인에서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아동권리 실행 수준이 높았으며, 높은 연령의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의 아동권리 실행 수준이 낮은 연령을 담당하는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발달권을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멘토링 및 장학지도 등 아동 발달 실행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hildren’s rights respe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91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respect for children’s rights was found to be high in general. In terms of the sub-domains of children’s rights(right to survival, rights to being protected, right to development, and right to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respect for the right to survival was the highest while that for the right to development was the lowest. Second, according to teachers’personal variables, the higher teachers’level of age,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tend to the higher average level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erms of the teachers’institutional variables,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have a higher level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an those in private kindergartens.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eachers dealing with the children with older ages have a higher level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an those with the children with younger ag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