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Teachers’recognitions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sessments for young children

  • 177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시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만 3~5세 학급 담임교사 284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개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과 개인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면에 교사의 과도한 업무로 인한 평가 시간의 부족 및 학급 내 교사 대 유아의 높은 비율을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을 평가한 결과를 해석하고 기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한 사전 계획 시 평가의 시기,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 보다 평가의 결과 활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교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해 일화기록법, 체크리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간편한 평가 방안과 해석 및 활용방법이 자세하게 안내되어 있는 평가 자료의 제작 및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il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emotional assessments of them, and explore needs for such assessm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284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of 3-5 years old young children’s i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First, while teachers agreed on the necessity of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assessments was low. They recognized that insufficient time for the assessments due to their overworks and high rate of teachers to young children’s are the greatest problems to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ssessments was low in the field. They felt that methods to reflect the results of such assessments on the curriculum by interpreting and recording them were necessary. Second, teachers often designed period, content and method of assessments, rather than us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in the preliminary planning of the assessments. In the actual field, anecdote recordings and checklists are more often used for the assessments. Thus, assessment data which specifically guide utiliz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ssessments and simple assessments that can be actively applied to the field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