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청소년쉼터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Improvement way and the problem of Youths Shelter

  • 1,044
145432.jp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출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쉼터의 문제점과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청소년의 가출은 그 자체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인생발달 주기 중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가장 혼돈을 겪는 시기인 청소년기이고 보호자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후 범죄와 연루될 수 있고, 개인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문제를 가져 올 수 있기에 문제시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출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쉼터가 유형별로 특화가 되고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서비스 제공 기관과 인력 부족으로 2차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가출 청소년의 개념과 유형, 현황과 특성, 청소년쉼터의 가출 청소년 지원현황을 분석하였으며, D시 청소년쉼터 5명의 소장들과의 면접 자료를 분석하여 청소년쉼터의 문제점과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가출 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각 기관 간 사업에 있어 사업대상과 목적에서 고유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동시에 연계와 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야 한다. 본 연구가 가출 청소년들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의 수립과 안전망 확충에 기여하길 바란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readiness of independent living of runaway youths at the youth shelter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haven’t been enough studies about the readines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of the runaway youth at those shelt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fact that the runaway youth have experienced youth misconduct for satisfying their needs and is to emphasis the necessity of youth shelter to protect the runaway youth for prevention of their misconduct and is to present the roles of youth shelter for the runaway youth’ misdeeds prevention and the right guidance through the facility extension of youth shelter the public relations and service improvement. Especi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xtent of the readiness of the runaway youths, the relevance with sub-variable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independent living at those mid & long-term shelters. community activities and supports from community showed all meaningful relevance to all self-management. this study have been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5 to Youths Shelter manager. Youths Shelter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ree models building a systematic network among shelter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are vital to the success of shelters. Shelters of each model type should be characteristically developed. To provide the youth population with specialized professional assistance, an organized system should be built to prevent waste of resources, to enhance the workers’ professional expertise and to reduce the excessive burden of work placed on youth workers. Youths Shelter needed appreciated of the various establishment a peculiarity and they connectivity and network for the improvement and synergy effe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청소년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Ⅳ. 논의 및 정책적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