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가뭄 극복을 위한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방안 연구

On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Dam during Drought Period

  • 71

본 연구에서는 가뭄 극복을 위하여 댐의 비활용용량 구간에 있는 저수량의 활용을 제고할 수 있는 구조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한다. 댐에서의 비활용용량(inactive storage)은 비상용량(emergency storage)과 사수용량(dead storag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상용량은 가뭄과 같은 비상시에 활용가능 하도록 하고 있지만 사수용량은 퇴사가 진행되는 구간으로 가정하여 일반적으로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한 용량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극심한 가뭄시에 비상용량과 더불어 사수용량 일부를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비상용량과 퇴사위(Sediment Level, SL) 위의 사수용량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가정하였고, 이 구간을 ‘댐의 갈수용량’이라고 새롭게 명명하였다. 갈수용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퇴사위 분석이 선행되어야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SMS의 RMA-2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댐 저수지의 퇴사위를 산정하였으며, 추가이용 가능한 용량을 고려한 뒤 최종적으로 갈수용량을 산정하였다. RMA-2 및 SED-2D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재는 과거 관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는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8.5 시나리오에 의해 미래 기후인자를 예측하고 TANK 모형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을 결정한 뒤 미래 기간별 퇴사위를 예측하였다. 현재와 미래의 퇴사위를바탕으로 갈수용량을 제시한 결과, 활용할 수 있는 갈수용량은 현재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래 기간이 진행될수록 활용할수 있는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후 변화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며, 미래에 활용할 수있는 갈수용량의 증대를 위해 기후 적응 대책 및 퇴사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ucture plan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the dam for overcoming the drought. Inactive storage in the dam is composed of the emergency storage and dead storage. The emergency storage can be used for the case of emergency such as drought. But, in general, the dead storage for sedimentation is not used even for the emergenc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part of dead storage that the sedimentation is not progressed yet can be used during the severe drought period and is called “drought storage in a dam”. The accurate Sediment Level(SL) analysis for the computation of the drought storage should be performed and so the present and future SL in the dam reservoir is estimated using SED-2D linked with RMA-2 model of SMS. After the consideration of additionally available storage capacity based on the estimated SL, the drought storage is finally determined. Present data based on historical data, future predicted future climate factors by Representative Concentrarion Pathways(RCP) 8.5 scenario. Then, using the TANK model, dam inflows were determined, and future period such as SL and drought storage were suggested. As the results, we have found that the available drought storage will be reduced in the future when we compare the present drought storage with the future one. This is due to a increase variability of climate change. Therefore, we should take the necessary study for the increase of available drought storage in the future.

1. 서 론

2.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제고 방안

3. 퇴사위 분석을 위한 모형 선정

4. 댐의 퇴사위 및 갈수용량 산정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