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집단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보수만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Collective Self-Esteem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 박진이(Jiniee Park) 임수진(Soojin Lim)
- 인지발달중재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제9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125 - 141 (17 page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보수만족이 집단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관의 사회적 지지와 보수만족을 구조적 요인으로 설정하여 조절효과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46개 어린이집에 소속된 교사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교사 개인수준 변인인 자아탄력성을 1수준으로, 기관수준(사회적 지지, 보수만족)은 2수준으로 설정하여 Mplus 7.2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에서는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집단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기관수준에서는 기관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집단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수만족 정도는 교사의 집단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집단자아존중감의 간의 관계에서 기관의 보수만족 정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별 교사의 집단자아존중감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뿐 아니라 교사가 소속된 기관 차원에서의 지원이 중요함을 다층분석을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ego-resilience, wage satisfaction level, and social support on collective self-esteem, and examined the cross level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child care teachers from 46 child care centers. The multi-level analysis, which constituted Level 1 (ego-resilience) and Level 2 (soci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was performed using Mplus 7.2.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er ego-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collective self-esteem. Additionally, collective self-esteem tended to be higher in institutions with higher social support. In contrast, the wag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 did not affect the collective self-esteem of the employed teachers. Further, wage satisfac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collective self-esteem,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wag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t an institution have unique contributions to collective self-esteem, as a direct factor and moderator.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