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587.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동의 성별 및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ender,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on Child Aggression

  • 326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기질,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아동의 성별과 기질,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및 인천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366명이며,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독립표본 t 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중 과민반응은 남아의 어머니들이 여아의 어머니들보다 더 높았으며, 공격성은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더 높았다. 둘째, 아동의 성별과 기질,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아동의 공격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성별과 기질,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은 기질을 통제한 후에도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아동의 공격성을 예방하고 줄이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아동 대상의 상담 현장뿐 아니라, 부모 대상의 교육,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 aggression in relation to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A sample of 366 children in the 5th or 6th grade in six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Temperament,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were assessed by a child-report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ys reported a higher level of oversensitive-reaction of their mothers than girls. Second, boys showed greater physical aggression than girls. Third, there were bivariate associations among temperament,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and child aggression. That is, greater aggression was related to higher negative emotionality, lower activity as well as sociability of the child. Also, greater aggression was linked to less emotion-coaching reaction, more oversensitive reaction and emotion-minimizing reaction of mothers. Fourth, child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gender,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 negative emo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ssessing negative emotionality of children and educating emotion coaching behaviors of mothers for reducing child aggress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