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68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판 성격적응척도(K-JPAQ:Korean Joines Personality Adaptation Questionnair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Examin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Joines Personality Adaptation Questionnaire

  • 100

본 연구의 목적은 Vann Joines(1986)가 성격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성격적응 척도(JPAQ: Joines Personality Adaptation Questionnaire)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판 성격적응 척도(Korean Version of Joines Personality Adaptation Questionnaire; K-JPA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1,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연구 대상자 중 150명을 선별하여 MMPI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JPAQ 척도의 내용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8명의 국내 심리상담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JPAQ 척도와 MMPI 와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JPAQ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척도 개발자가 제시하고 있는 요인구조와 비교하였고, 끝으로 JPAQ 척도 전체와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PAQ 척도 전체와 하위요인들의 Cronbach ɑ는 척도 전체가 .790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성이 파악되었으며 하위요인들은 .510 이상의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둘째, JPAQ 척도는 전문가들에 의해 내담자들의 성격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내용적합성 판단 결과가 평균 3.5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셋째, JPAQ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MMPI 임상척도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 정도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JPAQ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척도 개발자가 제시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존 및 실행적인 성격적응이 각각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Joines Personality Adaptation Questionnaire(K-JPAQ). Data were collected from 1,445 Korean adults whil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was additionally administered to 150 subjects only. Eight clinical experts were interviewed to examine a content validity of the K-JPAQ. Data were analyzed using a variety of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a correlation analysis, a Cronbach alpha analysi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general, most clinical experts agreed that the items of the K-JPAQ were well constructed and translated for assessing the six personality adaptations in Korea. Cronbach s alpha was .790 for all the items of the K-JPAQ. The six personality adaptatio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MMPI counterparts. Six factors were extract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six personality adaptations originally established by Joines and Stewart (2002).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JPAQ is reliable and valid for Korean adults. Thus, K-JPAQ could be utilized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in Korea.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