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The Shamanic Perspective on Social Outcasts: Focus on the Final Stage of Gut

  • 204

굿의 마지막 제차는 철상을 한 뒤에 밖에서 떠도는 잡귀잡신을 풀어먹이는 것이다. 굿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뒷전, 마당굿, 거리굿, 중천멕이 등 다양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뒷전으로 통칭한다. 대개 뒷전은 말로 잡귀들을 풀어먹이지만 규모가 큰 굿에서는 무당이 장구재비와 재담을 주고받으면서 연극적으로 진행한다. 뒷전은 사회의 외곽에서 인간다운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살다가 결국 비참한 죽음을 한 존재들을 위로하는 굿이다. 이런 존재들을 잘 달래주어야 사람들에게 피해가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뒷전에는 한을 풀어주어야 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뒷전의 인물들을 사회적 약자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는 장애인, 여성, 그리고 동시대의 소외된 서민의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장애인은 태생적인 사회적 약자이다. 그러나 뒷전에서는 장애인도 당당한 인격을 가지고 한을 푸는 존재로 등장한다. 뒷전은 폭력에 희생당한 여성이나 일상적인 이웃의 절박한 삶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자신의 모습을 본다. 뒷전은 억울한 삶을 살다가 죽어서도 그 한을 풀지 못한 존재들에 대한 관심이고 배려이다. 그들의 아픔을 기억하는 장치이고 살아있을 때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사람들을 대변하는 자리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들은 다음과 같은 무속의 관점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소외된 존재에 대한 관심, 보잘 것 없는 작은 존재와도 화해하려는 의지이다. 두 번째는 뒷전의 인물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잡귀들은 아무 힘없는 사회적 약자일 뿐이다. 그런 인물들을 보면서 관중은 동질감을 느낀다. 인물의 행동을 보면서 웃지만 웃음의 대상 속에 나도 들어있다는 것을 안다. 나 또한 이 사회의 약자이기 때문이다.

In the final phase of the gut, the table is cleared and sacrificial food is used to drive out wandering minor evil spirits. The name of this gu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with examples including ‘madang-gut’, ‘geori-gut’ and ‘jongcheonmaegi‘, but this paper has opted to use the collective term ‘dwi-jeon (the last phase)’. In most ‘dwit-jeon’, minor evil spirits are exorcised through the spoken word, but in large-scale guts, this phase is performed in a theatrical manner as a witty exchange between the mudang and the drummer.The ‘dwit-jeon’ comforts those who were positioned on the outskirts of society and unfair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before dying a tragic death. It is believed that these spirits must be consoled to prevent them from inflicting harm on the living. During the dwit-jeon, diverse figures appear whose ‘han’ must be relie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se figures in relation to the issue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socially outcast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3 categories: the disabled, women and contemporary working class people. Disabled people are socially disadvantaged from birth. However, during the dwit-jeon, they appear as figures who boldly unleash their han. The lives of women who have fallen victim to violence and the taxing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expressed through the dwit-jeon. The audience can see themselves reflected in the dwit-jeon. The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have not been 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platform for remembering the pain and speaking on behalf of those who were unable to speak for themselves during their own lifetime.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reflect the following views of Korean shamanism: Firstly, Korean shamanism takes an interest in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desires reconciliation even with those who are small and insignificant.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were un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device used to commemorate their pain and a platform for speaking on their behalf. Secondly, viewers of shamanic performances can 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The minor evil spirit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are no more than helpless social outcasts. The audience can sympathize with these figures. Though they may laugh at the actions of these figures, they understand that they themselves are also the subject of the laughter, as we too are socially disadvantaged.

1. 뒷전은 왜 중요할까

2. 뒷전의 자료

3. 사회적 약자로서 뒷전의 인물 분석

4. 사회적 약자를 보는 무속의 시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