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03.jpg
학술저널

학습부진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lass model to enhance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 214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형성 연구를 함께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주요어를‘학습부진’과‘대학생활적응’,‘수업 모형’으로 결정하고 모형의 핵심가치와 핵심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이후, 모형의 초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개선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완성된 형태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모형의 핵심가치는 첫째,‘교수자와 학습자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학습부진학생의 지지기반을 강화한다.’둘째,‘실제적 문제 해결의 학습경험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기른다.’셋째,‘팀 활동 경험을 통해 공동체의식과 협업력을 기른다.’로 도출되었다. 핵심 프로세스는 수업 전 활동과 수업 중 활동 그리고 수업 후 활동으로 나누어졌다. 세부 활동 프로 세스는 총 11단계로 도출되었다. LMS 환경 구축, 학사경고대상 확인 및 교과목 사전 안내, 자기 돌아 보기(자기 탐색하기, 자기 이해하기, 심층 면담하기), 함께 극복하기(실제 문제 공유하기, 자료수집하 기, 협업, 토의, 교류하기, 결과물 발표하기), 평가(자기평가, 동료평가, 팀 평가)하기, 성찰(자기 성찰, 팀 성찰)하기 단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학업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이 스스로 극복하고 자립할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을 제공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purpose, both a literature survey and a forming research were applied. In the literature survey, keyword was determined as ‘underachievemen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lass model’ and a draft model was drawn by deriving the core value and core processes of the model. And that, improvement points were extracted after applying the draft model to the field. The draft mode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form the completed model. The core value of the model was as follows; (1) ‘Strengthening of an underachieving student’s foundation of support through an organic rel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2) ‘Raising of a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 study experience of actual problem solving’, (3) ‘Developing of a community spirit and a collaboration ability’. The core processes were divided into “pre-class activity”, “in class activity” and “post-class activity”. Detail activity process was derived in all 11 steps. It was extracted as step of a LMS system formation, an academic warning recipient check, an advance curriculum notification, a looking back (self-searching, self-understanding, in-depth self-interview), overcoming together (real problem sharing, data collection, cooperation, discussion, mutual exchanges and results presentation), an assessment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team assessment) and a reflection (self-reflection, team reflec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student who had academic difficulties in university of the experience and the knowledge to be able to overcome and become independently, and give the basic data for successful university life for them through this study.

1. 서론

2. 연구방법

3. 모형의 초안

4. 현장적용을 통한 모형의 완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