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03.jpg
학술저널

노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재가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신체기능, 정서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on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Functions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266

본 연구는 노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신체기능, 정서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 까지 N시 5개 경로당에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65세이상 노인 27명이다. 프로그램은 2주일에 1회, 총 8-10회기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효과평가로는 인지기능(MMSE-DS), 신체기능 (K-ADL, K-IADL), 정서기능(SGDS_K)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노인의 MMSE-DS(t=-0.80 p=.434), ADL(t=1.09 p=.285), SGDS(t=0.27 p=.790)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프로그램 전과 후, 평균점수에서 근소하게 향상됨이 나타났다. IADL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신체기능의 향상됨이 나타났다(t=21.05, 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한 노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노인의 기능향상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그리고 노인 및 치매노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노인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보완 및 개발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수를 확보하여 연구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one-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research to testify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elderly residents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fun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are 27 elderly aged 65 or older who received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at 4 Kyungrodang in N city from June 1 st , 2017 to December 31 th , 2017. The program provided a total of 8-10 sessions, once every two weeks. Outcomes variables included cognitive function(MMSE-DS), physical function(K-ADL, K-IADL), emotional function(SGDS-K). As the result of the study, MMSE-DS(t=-0.80 p=.434), ADL(t=1.09 p=.285), SGDS(t=0.27 p=.790)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lightly improved on averag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AD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t=21.05, p<.001). Therefore, the elderly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nd provided the resources need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and the persons with dementia. But it is suggest that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and perform further study with more participants for its generaliza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