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03.jpg
학술저널

성별 차이에 따른 악성댓글 중화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malicious comments neutralization by gender difference

  • 280

악성댓글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악성댓글을 이해하고 예방하기 위해 여러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 중 기존 연구에서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는 악성댓글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아직까지 성별에 따른 중화 정도의 차이는 크게 고려되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온라인은 현실과는 다른 환경적 특성들이 다수 존재 함에도 악성댓글과의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악성댓글과 중화의 관계에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악성댓글에 온라인의 환경적 요인들(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발견되지 않은 반면,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는 강한 직접적 영향력과 성별 차이의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한다.

As malicious comments are emerging as social problems, the solution is neede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perspectives to understand and prevent malicious comments.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neutr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malicious comments, but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neutraliz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has not been rarely considered.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man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reality in online, research with malicious comments is insufficient.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relationship between malicious comments and neutralization, and demonstrated the effects of online environmental factors (anonymity, lack of social presence) on malicious com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iscovered that the influence of online environmental factors was not found, but neutr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had strong direct influence on malicious comments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3. 연구방법과 가설검증

4. 토론

로딩중